본문 바로가기

우리들의이야기/좋은글감상

자동차의 왕 "헨리포드" 세계적인 자동차 제작회사 포드의 창설자이자 자동차 왕으로 불리는 헨리 포드는 사업에 성공한 뒤, 처음으로 자신의 집을 지었습니다. 그 집은 자신이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어렸을 때 뛰어 놀던 밭 가운데 지은 작은 집이었습니다. 어느 날 주택이라고 하기엔 너무 초라한 그의 집에 방문한 한 부하직원은 물었습니다. “사장님의 저택답게 다시 건축하시면 어떻습니까?” 그러자 헨리 포드는 “건물을 세우는 것은 문제가 아닐세. 그 속에 가정을 세우는 것이 문제지”라고 대답하였습니다. 또한 그가 80세 생일 만찬에서 “당신이 이룬 일들 가운데 가장 크고 중요하게 여기는 일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그는 “바로 나의 ‘가정’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먼지 하나 없는 집에 살고 있는 사람이 없듯이 완벽한 가정은 없을 것입니.. 더보기
-「순자(荀子)」, 왕제(王制)에서 물과 불에는 기(氣)는 있어도 생명(生)은 없고, 풀과 나무에는 생명은 있어도 지각(知)이 없으며,새와 짐승에는 지각은 있어도 의(義)라는 것은 없다. 인간은 기(氣)도 생명(生)도, 지각(知)도 가지고 있고,그 위에 또 의(義)를 갖추고 있어 세상에서 가장 고귀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무릇 인간의 힘은 소(牛)에 미치지 못하고, 달리는 속도는 말(馬)에 미치지 못한다. 그런데도 소나 말 쪽이 인간의 이용 대상이 되는 것은 어째서인가? 그것은 인간은 사회(群)를 구성할 수 있으나, 소나 말은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무엇으로써 사회를 구성할 수 있는가? 그것은 사회적 역할의 구분(分)에 의해서이다. 사회적 역할의 구분은 무엇으로 실행되는가? 그것은 의(義)에 의해서이다. 의(義)로써 사회적 역할을 실행하.. 더보기
- 글레이저즈펠트(von Glasersfeld)의 의미의 구성에 관한 글에서 우리의 언어적 성장과정은 상호 양립성을 추구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상호 양립성은 상호작용을 하는 두 주체가 모종의 고정되고 완성된 의미를 주고받거나 공유함으로써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각 주체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의 경험에 부합하는 보다 적절한 의미를 찾으려는 점진적인 조절과정을 통하여 성립하는 것이다. 어린이가 새로운 단어를 배워가는 것을 지켜본 사람이라면,그가 처음 새로운 단어에 부여하는 의미는 성인의 의도와는 다소 다른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는 자신이 기대하는 반응을 얻기 위해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실패하는 과정을 통하여 의미를 조정해 나아간다. 이와 같은 단어의 의미 조정과정은 아동기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오랜 시간 동안 그 단어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후에도 자.. 더보기
인생길 가다보면 인생길 가다보면 인생길 가다보면 서로 만나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그러면서 사는게지 머 그리 잘난 자존심으로 용서하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고 비판하고 미워하는지... 사랑하며 살아도 너무 짧은 우리네 삶 베풀어 주고 또 줘도 남는 것들인데 웬 욕심으로 무거운 짐만 지고 가는 고달픈 나그네 인가,, 왜 그리 마음에 문만 닫아걸고 더 사랑하지 않고 더 베풀지 못하는지.. 서로 아끼고 사랑해도 짧고 짧은 허망한 세월인 것을 미워하고 싸워 봐야 서로 마음의 상처에 흔적만 가슴깊이 달고 갈텐데... 있으면 만져 보고파지고 없으면 더 갖고 싶은 마음 갖으면 더 갖고 싶구 먹으면 더 먹고 싶은게 사람의 욕심이라 했고 채울때 적당함이 없구 먹을때 그만이 없으니 우리네 욕심 한도 끝도 없다 하네 내 마음 내 분수를 적.. 더보기
덕수궁수문장교대식 더보기
노 벨 평화상 수상자 "알베르트 슈바이쳐" 의 독일어와 프랑스어 이야기 독일어와 프랑스어 언어의 비교 : 프랑스는 논리적이고 , 독일어는 음악적이라는 것이다. 왜? 프랑스는 광야의 나라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위험이 다가오는 것을 눈으로 확인 한다.눈이 발달하고 미술이 발달했다. 그리고 프랑스어는전망이 좋은 평야처럼 명석한 말이 되었다. 외교 문서에서 프랑스어판을 정본으로 하는 이유는 誤讀(오독)이 있을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서 독일은 숲의 나라이다. 남부 독일에 있는 검은숲의 다람쥐가 나무에서 땅으로 내려오는 일 없이그대로 북부까지갈 수 있을 정도이다. 그러므로 앞이 보이지 않는 숲 속에서 위험을 감지하려면 소리에 의지하는수밝에없다. 그래서 독일인은 귀가 발달하고 음악이 뛰어난 민족이 되었다. 더보기
탈무드가 말하는 사람의 평가기준은.... 히브리어로 "키소,코소,카소"라고 합니다 1)"키소"는 돈을넣는주머니, 로 돈을 어디에 쓰느냐하는 것입니다 ㅡ 돈 씀씀이가 그 사람의평가기준 2)"코소"는 술잔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디에 무엇을 즐거움으로 삼고 살아가냐는 것이다 3)"카소"는 인간의 노여움을말하는 것으로 사람됨은 그의 인내력에 의해평가된다는 것이다 더보기
당신을 사랑합니다....^^ 더보기